서론 spring을 사용하다 보면 proxy 객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전에 proxy라고 함은 디자인 패턴에서 Proxy Pattern를 말하고 있습니다. Proxy Pattern이란 가짜 객체를 미리 만들어 두어 메모리에 진짜 객체가 올라가지 않게 하여 호출되기전 메모리 상 이득을 볼 수 있게 하는 디자인 패턴 중 하나 입니다. Proxy Pattern에 대해서는 다른 블로그에서 잘 정리 되어 있고 아래 블로그들을 참고 사이트로 추천합니다. https://inpa.tistory.com/entry/GOF-%F0%9F%92%A0-%ED%94%84%EB%A1%9D%EC%8B%9CProxy-%ED%8C%A8%ED%84%B4-%EC%A0%9C%EB%8C%80%EB%A1%9C-%EB%B0%B0%EC%..
앞서 Lazy Loading에 대해서 잠깐 언급하고 넘어간 적이 있다. 한번에 엔티티에 해당하는 모든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이 아닌 필요할때(호출시) 가져온다는 로딩 방식이었다. 여기서 프록시라는 개념이 있다. 보통 IT쪽에서 프록시는 네트워크에서 많이 들어본 단어일 것이다. JPA에서 프록시도 크게 다르지 않은 개념인 것 같다. 즉, 필요한 것으로 넘어가기 위한 중간 단계 역할의 객체를 놓는 것이다. Lazy Loading을 보면 바로 객체를 가져오는 것이 아닌 프록시 객체를 가져온 뒤, 그 프록시 객체를 통해서 실제 엔티티에 접근하게 된다. 프록시와 실제 엔티티는 상속을 받은 구조이기 때문에 겉모양이 동일하다. 이러한 특징으로 사용자는 프록시와 실제 엔티티를 사용하는데에 다른점이 없이 사용 가능하다. ..
- Total
- Today
- Yesterday
- API
- OS
- Java
- apache
- zookeeper
- spring
- cs
- NextJS
- React
- Data Engineering
- Front
- Linux
- Container
- centos
- spring boot
- Firebase
- K8S
- caching
- backend
- feign client
- 프론트엔드
- apache kafka
- broker
- JPA
- 리액트
- frontend
- KAFKA
- rhel
- Producer
- consumer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