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PI란? 우선 Controller를 만들기 전에 API라는 개념을 알아야한다. API라고 하면 다들 Rest API를 떠올릴 것이다. 그럼 API중 Rest API는 뭘까? REST API란? API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는 애플리케이션이나 디바이스가 서로 간에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는 방법을 정의하는 규칙 세트입니다. REST API는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아키텍처 스타일의 디자인 원칙을 준수하는 API입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REST API를 종종 RESTful API라고도 합니다. 출처: https://www.ibm.com/kr-ko/cloud/learn/rest-apis 위의 설명을 좀 더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서로간 데이터나 정보..

해당 글의 소스코드는 링크 걸어 두었습니다. GitHub - dolgogae/TIL: Today I Learned Today I Learned. Contribute to dolgogae/TIL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이전 글에서 넘어와 Post를 알아보도록 하자. Post로는 조금 더 복잡한 예제를 찾아봤다. 그래도 복잡하다 해봤자 request나 response 타입이 좀 더 복잡할 뿐이다. 앞선 예제보다 조금더 복잡해보이지만 변수 묶음인 keywordGroups는 객체로 만들어주면 되고 나머지는 예제에 나와있는 자료형으로 해주면 된다. DatalabTotalSearchRequest.java @Data @NoArgsConst..

해당 글의 소스코드는 링크 걸어 두었습니다. GitHub - dolgogae/TIL: Today I Learned Today I Learned. Contribute to dolgogae/TIL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앞선 Get, Post를 통해서 Naver API를 호출해보는 실습을 하자. 네이버의 API는 https://developers.naver.com/여기서 확인 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지역 검색과 이미지 검색을 호출하는 것을 개발해보도록 하자. Document > 검색 > 지역을 들어가면 다음처럼 API spec을 볼 수 있다. 네이버의 경우에는 굉장히 깔끔하고 이쁘게 정리를 해두어 개발하기가 매우 편하다. 가장 ..
해당 글의 소스코드는 링크 걸어 두었습니다. GitHub - dolgogae/TIL: Today I Learned Today I Learned. Contribute to dolgogae/TIL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앞선 Get을 통한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단지 변수를 어떻게 담아서 보내는 데에 차이가 있다. public UserResponse post(){ // http://localhost:9090/api/server/user/{userId}/name/{userName} URI uri = UriComponentsBuilder .fromUriString("http://localhost:9090") .path("/api/..
해당 글의 소스코드는 링크 걸어 두었습니다. Backend를 하게 된다면, API를 호출해서 정보나 기능을 써야하는 경우가 생긴다. 물론, API를 만들어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다른 곳의 API를 가져와 잘 쓰는 것도 중요하다. 처음으로는 Spring에서 Get method로 API를 호출하는 것을 하도록 하겠다. GET, POST, PUT 등등 Http 통신의 방법은 너무 많은 블로그에서 설명했기 때문에(물론 내가 포스팅하는 이 글도 엄청 많지만...) 설명이 잘된 사이트를 첨부하겠다.. https://www.w3schools.com/tags/ref_httpmethods.asp https://www.guru99.com/difference-get-post-http.html 우선, Get method는..
- Total
- Today
- Yesterday
- broker
- React
- zookeeper
- spring boot
- 리액트
- Front
- K8S
- backend
- NextJS
- Java
- Linux
- centos
- rhel
- 프론트엔드
- Producer
- Firebase
- cs
- JPA
- Container
- apache kafka
- Data Engineering
- API
- KAFKA
- frontend
- apache
- caching
- spring
- consumer
- OS
- feign clien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